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8

[백준 1003번] 피보나치 함수 - 0과 1 count하기 in python 문제 다음 소스는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C++ 함수이다. int fibonacci(int n) { if (n == 0) { printf("0"); return 0; } else if (n == 1) { printf("1"); return 1; } else { return fibonacci(n‐1) + fibonacci(n‐2); } } fibonacci(3)을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난다. fibonacci(3)은 fibonacci(2)와 fibonacci(1) (첫 번째 호출)을 호출한다. fibonacci(2)는 fibonacci(1) (두 번째 호출)과 fibonacci(0)을 호출한다. 두 번째 호출한 fibonacci(1)은 1을 출력하고 1을 리턴한다. fibonacci(0)은 .. 2021. 11. 4.
[백준 14889번] 스타트와 링크 in python 문제 오늘은 스타트링크에 다니는 사람들이 모여서 축구를 해보려고 한다. 축구는 평일 오후에 하고 의무 참석도 아니다. 축구를 하기 위해 모인 사람은 총 N명이고 신기하게도 N은 짝수이다. 이제 N/2명으로 이루어진 스타트 팀과 링크 팀으로 사람들을 나눠야 한다. BOJ를 운영하는 회사 답게 사람에게 번호를 1부터 N까지로 배정했고, 아래와 같은 능력치를 조사했다. 능력치 Sij는 i번 사람과 j번 사람이 같은 팀에 속했을 때, 팀에 더해지는 능력치이다. 팀의 능력치는 팀에 속한 모든 쌍의 능력치 Sij의 합이다. Sij는 Sji와 다를 수도 있으며, i번 사람과 j번 사람이 같은 팀에 속했을 때, 팀에 더해지는 능력치는 Sij와 Sji이다. N=4이고, S가 아래와 같은 경우를 살펴보자. 예를 들어, 1.. 2021. 11. 4.
[백준 14888번] 연산자 끼워넣기 in python 문제 N개의 수로 이루어진 수열 A1, A2, ..., AN이 주어진다. 또, 수와 수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는 N-1개의 연산자가 주어진다. 연산자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우리는 수와 수 사이에 연산자를 하나씩 넣어서, 수식을 하나 만들 수 있다. 이때, 주어진 수의 순서를 바꾸면 안 된다. 예를 들어, 6개의 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1, 2, 3, 4, 5, 6이고, 주어진 연산자가 덧셈(+) 2개, 뺄셈(-) 1개, 곱셈(×) 1개, 나눗셈(÷) 1개인 경우에는 총 60가지의 식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식을 만들 수 있다. 1+2+3-4×5÷6 1÷2+3+4-5×6 1+2÷3×4-5+6 1÷2×3-4+5+6 식의 계산은 연산자 우선.. 2021. 11. 3.
python에서 *과 **의 의미 def function(*args): 로 함수의 파라미터 안에 *이 들어간 것을 가끔 볼 수 있다. 이것은 매개변수가 몇 개 들어올지 모를 때 쓰인다. 보통 def function(a):를 하면 매개변수로는 변수 a하나만 들어간다. 그러나 들어오는 매개변수가 하나가 아니고 가변적으로 변할 때 *을 쓰는 것이다. def function(*args): print(args) function('asdf') function('asdf',123,'asdfdfdsf') # 결과 #('asdf',) #('asdf', 123, 'asdfdfdsf') 이렇게 매개변수가 하나가 아니라 여러개가 들어갈 때 쓰인다. def function(**kwargs): 그럼 또 **은 뭐냐? 이것도 앞의 *과 같은 기능에 추가로 딕셔너리.. 2021. 11. 3.
[백준 2580번] 스도쿠 in python 문제 스도쿠는 18세기 스위스 수학자가 만든 '라틴 사각형'이랑 퍼즐에서 유래한 것으로 현재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이 게임은 아래 그림과 같이 가로, 세로 각각 9개씩 총 81개의 작은 칸으로 이루어진 정사각형 판 위에서 이뤄지는데, 게임 시작 전 일부 칸에는 1부터 9까지의 숫자 중 하나가 쓰여 있다. 나머지 빈 칸을 채우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가로줄과 세로줄에는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한 번씩만 나타나야 한다. 굵은 선으로 구분되어 있는 3x3 정사각형 안에도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한 번씩만 나타나야 한다. 위의 예의 경우, 첫째 줄에는 1을 제외한 나머지 2부터 9까지의 숫자들이 이미 나타나 있으므로 첫째 줄 빈칸에는 1이 들어가야 한다. 또한 위쪽 가운데 위치한 3x3 정사각형의 .. 2021. 11. 3.
from itertools import 순열, 조합, 곱집합, 중복조합 in python 순열. import permutations -> 순서가 있음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n,m=map(int,input().split()) #n=4, m=2 permu=list(permutations([i for i in range(1, n+1) ],m)) # [1,2,3,4], 2 print(permu) ''' for i in permu: for j in range(len(i)): print(i[j], end=' ') print() ''' ''' 입력 : 4 2 출력 : [(1, 2), (1, 3), (1, 4), (2, 1), (2, 3), (2, 4), (3, 1), (3, 2), (3, 4), (4, 1), (4, 2), (4, 3)] 입력 : 3 1 출력 : .. 2021.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