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항해99][프로그래머스]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in Javascript

by lucian 2022. 7. 16.

문제 설명

array의 각 element 중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작성해주세요.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 배열에 -1을 담아 반환하세요.

 

제한사항

  • arr은 자연수를 담은 배열입니다.
  • 정수 i, j에 대해 i ≠ j 이면 arr[i] ≠ arr[j] 입니다.
  • divisor는 자연수입니다.
  • array는 길이 1 이상인 배열입니다.

입출력 예

arr divisor return
[5, 9, 7, 10] 5 [5, 10]
[2, 36, 1, 3] 1 [1, 2, 3, 36]
[3,2,6] 10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1

arr의 원소 중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는 5와 10입니다. 따라서 [5, 10]을 리턴합니다.

입출력 예#2

arr의 모든 원소는 1으로 나누어 떨어집니다. 원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1, 2, 3, 36]을 리턴합니다.

 

입출력 예#3

3, 2, 6은 1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나누어 떨어지는 원소가 없으므로 [-1]을 리턴합니다.

 

 

 


내가 푼 문제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 방법 1
    let answer=[];
    for (let i=0; i<arr.length; i++){
        if (arr[i]%divisor==0){ answer.push(arr[i]) }
    }
    return answer.length!=0 ? answer.sort((a,b)=>a-b):[-1]
}

for if문으로 문제 풀이

for문 진행 중 arr의 element가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질 때, answer에 arr의 element를 넣는 방법이다.

for문 종료 후 if문 삼항연산자를 사용

  - answer 배열의 길이가 0이 아닐 때(배열이 들어 있을 때), sort()함수로 오름차순 정렬을 해준 후 리턴.

  - answer 배열의 길이가 0일 때(배열 안에 아무것도 없을 때), [-1]을 리턴.

 

여기서 sort()함수 안에 파라미터를 넣지 않을 경우 유니코드 순으로 정렬이 된다.

즉 [1,2,10,5] 가 배열 내부에 있으면 .sort()을 진행할 경우 [1,10,2,5] 가 된다.

sort(compare_function)으로 파라미터를 받는데 이 compare_function을 정의해주면 된다.

 - a>b 일 경우 return 1을 해주면 a,b로 정렬을 해주고

 - a=b 일 경우 return 0을 해주면 그대로,

 - a<b 일 경우 return -1을 해주면 b,a로 정렬 해준다.

(1은 의미가 없다. return값이 양수이냐 음수이냐의 차이.)

 

이 compare_function을 이용한다면 a-b가 양수 음수냐에 따라 위치가 바뀌기에 a-b를 설정해준 것.

 

 

 

 

내가 푼 문제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방법 2
    let answer=[];
    arr.map((a,i)=> a%divisor==0 && answer.push(a))
    return answer.length!=0 ? answer.sort((a,b)=>a-b):[-1]
 }

for문을 쓸 수 있기에 map함수도 쓸 수 있을 것 같아 실행해봤다.

map 내부에 if문 && 삼항연산자 를 사용해서 if 값이 True일 때만 작동하는 함수이다.

arr의 배열 요소 a가 divisor와 나누어 떨어질 때, answer배열에 a를 넣게 한다.

 

그 후 아까와 같은 방법으로 리턴해줌.

 

 

 

 

 


남이 푼 풀이

function solution(arr, divisor) {  

    // 방법 3
    const answer=arr.filter(a => a%divisor==0)
    return answer.length!=0 ? answer.sort((a,b)=>a-b):[-1]
    
}

filter함수를 처음 알게 됬다.  이 상황에서 map함수보다 효율성 있어 보인다.

map은 배열의 내부 요소(element)에 집중한다면, filter는 함수이름 그대로 필터링해서 새로운 변수에 넣어준다.

(물론 filter기능을 map도 할 수는 있음.)

 

filter함수의 파라미터(매개변수)로 조건문을 설정하여 배열 내부의 요소들을 필터링하여 새로운 배열을 만들 수 있다.

filter함수를 사용해서 arr배열의 element a가 divisor에 나누어 떨어질 때만 answer배열에 들어간다.

 

그 이후 내가 했던 풀이와 똑같다.

 

댓글